2010년 5월 13일 목요일

There was love

There was love this day. This day last year there was love.

The light evening May breeze wisps by us as we run across the crosswalk, headlights highlighting our bemused grins and mischievous eye lock. A green bottle of soju in my hand, that plus a coke in hers, laughs leaving our lips about that joke. Her friends trailing behind, next to, and in front of us; we are at the center.

We are at that point. You can feel it. It isn't about what we say now, only the looks on our faces, our equally inclined postures towards one another and those laughs with a hand coming up to shield what hasn't been shared yet. Just call it sex. We head to the green central quad in the center of campus, walking, just living up an incline.

On the hill sips grow longer in duration, the time faster. In our reverie a call is received and we're off to a tent meeting more friends; dope as always. Laughs we share, but the countdown has begun. The wind has swept the 'tree dust' up and our time away. In that sway-sway walk-walk against time, our interlocked fingers do the talking for our minds.

This day last year there was love. There is love this day.

2010년 5월 9일 일요일

유종원 柳宗元(773-819)

중국의 당시(唐詩)라면 사람들이 자꾸 이백 李白(701-762)이나 두보 杜甫(712-770)를 무의식적으로 생각이 나게 마련이에요. 그들은 중국의 고전시뿐만 아니라 중국 문학 자체를 대표하는 시인들이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두보와 이백 이외에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시인이 누구십니까 공경하게 의문하면 제가 이렇게 대답할 거예요. 유종원이요. 저말고는 고려대의 중어중문학의 위대한 이재훈 교수님 등이 지적하듯이중국의 고전문학을 전문가로서 공부하신 학자들도 중당이나 당시 중에 유종원은 언급을 많이 받은 시인이래요.
그의 시풍은 아주 한적하고 투명하여 대부분의 전문가들에 따르면 그 시대의 매우 유행했던 산수자연의 모습과 그 속에서 체험하는 심경을 읊은 산수시로 종류되는 거예요. 유종원의 시를 감상할 때 화가가 잘 그린 그림를 눈 앞에 출현하듯이 그의 시는 잘 다듬어진 시구와 정교하고 깨끗한 풍경 묘사를 통해 산수의 신비스런 아름다움을 효과적으로 포착하고 있어요. 거의 평생을 유배지에서 보냈던 유종원은 자기가 보였던 환경을 시로 바로 그대로 간직할 수 있어요. 개인적으로 매우 재미있고 잘 지어진 유종원의 한 시를 여러분과 함께 나누워 드릴게요. 강설이라...

江雪

千山鳥飛絶, 萬徑人踪滅.
孤舟蓑笠翁, 獨釣寒江雪.

강설

온 산에 새도 날지 않고
모든 길에 인적 끊어졌다.
외로운 배에 사립 걸친 한 노인
눈 내리는 강에서 홀로 낚시 드리운다.

River Snow

Through the mountains not a bird flutters, the many trails marks now extinct.
In a lonely boat a straw hat and caped grandfather, alone holds a rod on the snow falling river.

2010년 5월 7일 금요일

헤아릴 만한 관념

인생에서는 제가 가장 감명 깊게 읽었던 책은 지난달까지 읽었던 이동식이 쓴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이라는 책이에요. 책은 전체적으로 360 페이지로 구성되고 있는데 그중에 거의 모든 페이지에는 주목할 만한 아주 귀중한 지식이 많이 담겨 있어서 두번째로 세번째로 네번째로 읽는데도 다 파악될 수가 없을 정도이에요. 그러므로 매일밤에 이책을 한 장 한 장으로 다시 읽고 있어서 어젯밤에 재독한 '현대의 인관소외'란 장는 현대적 상황, 인간소외의 의미, 인간소외의 치료 세 부분으로 분리되고 있는데 제가 인간소외의 의미, 인간소외의 치료이란 부분에서 나온 중요하고 자기 자신의 가져온 상식을 바꾸게 한 구절을 옮겨 줄게요. 잘 읽어 주십시오^^

西洋의 르네상스는 틀림없이 自我의 自覺, 人間性解放의 요소를 지니고 있다. 西洋의 精神分析學的인 개념으로 르네상스의 自覺을 검토해 본다면 精神分析에서는 人間의 人格을 本能, 自我, 超自我(良心)으로 區分한다. 自我는 本能과 良心 그리고 外部環境을 知覺하고 3者를 조절하는 구실을 한다.

The awakening of the ego and the liberation of human nature are indisputably linked to the Western Renaissance. If you examine this awakening using a Western psycho-therapeutic conceptual framework, human character is divided into instinct, ego and super-ego (i.e. conscience). The ego perceives instincts, conscience,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It also controls all three of these elements.

르네상스의 自我는 人格의 3 構成要素 自我가 아니라 주로 本能의 解放이다. 르네상스가 解放시킨 人間性은 性的 衝動, 他人을 말살하려는 競爭心, 他民族을 정복하려는 侵略的인 本能, 自然의 征服과 破壞의 衝動, 利己心 등이었다. 앞서 말한 현대의 특징은 모두가 진정한 自我의 君臨이 없는, 고삐를 잃은 破壞的인 本能 解放의 결과라는 것을 쉽게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西洋文化에서 일어나고 있는 진정한 自我, 진정한 人間性 回復의 움직임이 必然的으로 東洋의 휴미니즘으로 접근해 오는 것을 수가 있다.

As for the ego of the Renaissance, it wasn't the ego that controls the three main elements of human character, rather it was mainly instinctual liberation. The instincts that the Renaissance set loose included sexual impulses, destructive competition, the instinct to violently invade and conquer other nations and races, as well as the urge to demolish and conquer nature, and self-centeredness. It's easy to see our peculiar modern predicament as the result of instincts for unbridled destructiveness freed without a controlled, true ego. Within Western Culture presently, we can view the movements for the search of our true ego and restoration of human nature as a necessary rapprochement with Eastern Humanism.

西洋文化에서 이러한 르네상스의 나쁜 결과를 물리치려고 일어난 思想이, 合理主意와 人間疎外의 폐단을 가장 예민하게 體驗한 키에르케고르, 니이체로부터 시작되는 일련의 實存主意事象이고, 곧 이어 나타난 것이 精神分析 카운슬링이고, 최근에는 美國에서 대두하고 있는 第三勢力의 心理的이라고도 불리는 일명 人間主意心理學 또는 存在心理學, 필자는 道心理學이라고 하는 것들이다.
In the West an ideology has arisen to combat the terrible results of the Western Renaissance. After the flood of existential thought that started with Soren Aabye Kierkegaard and Friedrich W.Nietzsche - two individuals who acutely experienced the harmful effects of rationalism and human alienation - psycho-therapeutic counseling appeared. Now today in the United States we have what is being coined ‘Third Force Psychology’, or humanistic psychiatry, in addition to existential psychology. It is here that this writer would like to rename these latter instances ‘Daoistic Psychology’.
現代文明의 위기는 르네상스로부터 시작된 人間의 本能 특히 破壞的 本能이 解放된 反面, 이를 制御하는 주인인 自我의 喪失에 기인하기 때문에 위기의 극복은 맘포드 등이 지적한 바와 같이 本能을 調節 制御하는 自我가 回復 또는 길러져야만 한다.

On one hand, the crisis of modern civilization arose out of liberated human instincts – destructive instincts in particular – that started during the Renaissance, in addition to the loss of an instinct regulating ego. Therefore, to overcome this crisis Lewis Mumford - amongst others - has pointed out that it is imperative to cultivate and restore an instinct regulating ego.

現代文明의 위기는 人間이 自己內面을 모르고, 따라서 內面의 破壞的인 힘을 制御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간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도구로 생각했던 機械의 組織이 破壞性을 띠게 되는 기인하므로, 위기의 극복은 人間이 自己內面世界를 檢討, 理解하고 스스로를 단련하고 制御하는 힘을 얻어서 內面의 破壞性을 建設的인 方向으로 이끌어가는 , 다시 말하면 진정한 自我의 回復이요 人間性의 回復에 있다... 필자는 누차 現代西洋文明의 위기는 道로써만 극복이 가능하다고 주장한 있다.

The crisis of modern civilization has arisen out of the inability of individuals to control their destructive instincts since they don’t know they contain such instincts in the first place. Thus it follows that since the technical organization (which we have thought of as a tool to advance human welfare) has highlighted these destructive instincts, it should hold that the key to overcoming this crisis lies in each man and woman examining and understanding everything that is inside of them. Only by understanding their true nature and tempering it so as to regain control can they then guide their destructive instincts in constructive directions. In other words, a return to the true ego and humanity is needed. As this writer has oft asserted, the crisis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can only be overcome through Dao( the Way).

다시 道로 돌아가서, 道는 主體性이요 진정한 自己를 찾는 것이요, 본래의 自己로 돌아가는 것이요, 自己反省, 自己理解, 自己制御이고, 佛敎나 유교, 道敎에서의 道를 닦는 목표가 부처가 되고聖人이 되고 道人 神仙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東洋의 道의 휴미니즘은 人間의 最高成熟段階를 神으로 보는 人間觀에서 출발하고 있는 것이 이미 2,500 전부터의 일이다...

Returning to the Way(Dao), we find that the Way is autonomy. It is finding your true self. It is returning to your original self. It is self-reflection, self-understanding, and self-control. The purpose of cultivating and developing the Way in Buddhism is to become a Buddha. In Confucianism it is to become a sage. In Daoism it is to become a person on the Way or a Daoist hermit. Thus Eastern Daoist Humanism has, for over 2500 years, viewed mans most mature, elevated, and cultivated state as god-like.

2010년 5월 5일 수요일

곰배령 이야기

오늘은 하루종일 시체놀이만 했어요. 그동안 중간고사를 잘 보기를 위해서 피가 날 정도로 아주 열심히 더 열심히 공부해 왔거든요. 오랜만에 진짜로 숴어서 참 잼있었네요. 정말요. 게다가 한 2년 전에 감상했던 MBC에서 나온 방송을 재방송으로 봤네요. 처음으로 봤을 때는 제가 서울에 위치하는 건국대학교의 언어교육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중이었는데 아무리 방송을 잘 알아듣기 위해 노력했는데도 제가 한국어를 말하는 초보라서 전체적으로 파악되지 못 했어요. ㅠ ㅠ 어쨌든 이제는 한국어 실럭이 어느 정도 발달해서 그때보다 방송을 훨씬 더 이해했어요. 어떤 내용이냐면 인간들이 사무적이고 비인간적인 서울대도시를 떠나 강원도에 있는 곰배령이란 생태적인 낙원으로 도망쳤단 말이에요. 저는 이 사람들 참 부러웠어요. 사회적인 기대에서 자기가 스스로 풀어놓은 것이 그냥 말하는 것보다 이해 못 할 정도로 어렵거든요. 저야말로 학생이니까 이 사회에 스키니진처람 딱 달아붙이지 않는데 제 마음속에서 그런 열정이 있다기만 하면 그런 삶을 살아갈수있는 거죠. 참 좋은 삶이다...절대적인 가치평가 기준에서 이렇게 말하는 게 아니라 자기가 살고 싶은 삶을 산다는 것...이 참 좋아보였어요. 저라면? 그렇게 살 수 있을 것 같아요. 솔직히 말하면 그렇게 살고 싶어요. 하지만 부작용...도 있겠죠. 배우자가 생기면 특히 아이들 낳을 때 모두 같은 곳을 바라보기는 너무 힘이 든다는 것이죠. 그래도 거기서 살았다면 가을으로 변할 때는 새벽에 일출이 뜨기 전에 제가 손으로 만들어낸 집 뒤에 있는 삼에 정상으로 올라가고 바로 거기서 뾰족한 공기를 코로 흡수하며 새로운 날 아니라 새로운 도전을 향하는 모습이, 제가 바로 그러한 모습이 되었으면 좋지 않겠냐는 생각은 머릿속에 자꾸 떠올려요... 아무튼 오늘 방송에서 가장 감동적인 부분은 한 어린 아이가 쓴 시였어요. 구절까지는 자세히 기억을 안 나지만 그래도 옮겨 보자면...

나무는 혼자 있어서 너무 외로웠어요
그래서 하늘에서 비가 내려왔어요
비가 나무를 안아줬어요
나무는 너무 좋아서 부끄러워서 얼굴이 빨개졌어요
그게 단풍이래요